블로그 마케팅의 현황
현재 수많은 블로그가 포털사이트를 통해 인터넷 도처에서 서비스 되고 있으며
개인이나, 기업 또는 영리, 비영리 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는 상태이며
급변하는 인터넷 환경에서 변화를 거듭해오고 있다.
블로그는 1997년 미국에서 최초로 등장한 이후 지금까지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왔으며 이메일, 채팅, 커뮤니티 열풍에 뒤이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블로그는 지인들뿐만 아니라 낯선 세상에
자신을 알리는 미디어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블로그는 1인 저널리즘의 성격에 의해 주목받기 시작하였으며 블로그의 등장으로
개인이 수동적 뉴스 소비자에서 벗어나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뉴스 생산자, 즉 프로슈머의 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하게 되었고
1999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블로깅 툴이 출시되었다.
그 후 2003년 이라크 전쟁과 2004년 미국 대선을 통해 블로그가 미디어와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블로그는 개인 일기장처럼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정치나 시사문제로 대두된
사회적 이슈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남겨 사회적으로 여론이 형성되어
상당한 파급력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기업 공식 블로그, CEO 블로그, 제품/서비스 마케팅 블로그, 연예인 블로그,
정치인 블로그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도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블로그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 될 수 있다.
크게 사내 블로그와 사외 블로그로 나뉠 수 있는데, 사내 블로그는 기업 내부에서
보고서를 작성하거나 북리뷰를 올리는 것과 같은 것이고 사외 블로그는 기업 입장에서
‘고객전도사’를 확보할 수 있는 최고의 도구다.
기업은 블로그를 통해 고객과의 대화의 장을 만들어 직접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덧글을 통해 고객의 의견을 수렴하거나 트랙백을 통해 정보를 확산할 수도 있다.
기존 매체 광고가 단순 노출을 통해 고객에게 수동적인 인지를 제공했다면,
블로그는 고객이 정보를 취득한 후 다른 고객에게 손쉽게 전파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순환 과정을 통해 충성도 높은 고객을 유치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기존 매체 광고가 단시간 노출에 고비용을 요구하고 광고 기간에만 고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던 반면에, 블로그의 콘텐츠는 하나의 정보로 인식되어 포털,
검색엔진, 메타블로그 사이트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검색되고 노출된다.
기업은 CEO블로그를 통해 시장 상황, 제품, 기술 등을 언급함으로써 업계 리더십을
확보할 수 있다.
기업의 CEO 들이 직접 블로그를 개설해 고객과의 1대1커뮤니케이션에 나서고 있고,
엔지니어, 마케터 홍보 담당자들도 자신의 영역에서 블로그를 개설해 블로거들과
소통하고 있다.
또한 기업 공식 블로그를 통해서 리스크 매니지먼트 할 수도 있다.
만일 기업 의 입장에서 간과할 수 없는 나쁜 사건이 발생하면,
기업 공식 블로그를 통하여 고객들에게 신속하게 자신들의 의견을 표명함으로써
부정적인 입소문을 방지할 수 있다.
제품/서비스 마케팅 블로그를 통해서 제품/서비스 출시 전부터 정보를 제공하면서
호감을 유도할 수 있고 출시 시점에 블로그를 통해 이벤트를 시행할 수도 있다.
외국의 수많은 블로그 마케팅을 경험한 국내 기업들은 본격적으로 블로그 마케팅을
시작해 왔으며, 지금도 수많은 기업 블로그가 오픈준비를 하고 있는 상황이고,
이는 비교적 저렴한 투자로 비용대비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가
크게 작용하는 듯하다.
전자, 에너지, 화장품, 보험, 카드, 관광, 쇼핑 등 모든 분야의 기업들이 속속 블로그를
오픈 하고 있으며, 대기업들의 블로그 경쟁 또한 치열해 지고 있고 삼성 전자 그룹은
‘햅틱폰’ ‘옴니아폰’ ‘소울폰’ 주력 상품마다 각각의 블로그가 운영되고 있고,
LG전자 그룹은 홈시어터소개, TV소개, 휴대폰 소개, 회사 소개 등
부분별로 블로그를 운영하며 블로거에게 어필하는 중이다.
블로그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 중 주요한 방법을 세 가지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로그에 게시된 기존 콘텐츠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미 기업과 제품에 대한 수많은 콘텐츠가 블로그에 존재한다.
메타블로그 검색, 키워드 및 태그 검색을 통해 기존에 올라와 있는 포스트들을 취합하고
분석 자료를 도출함으로써 기업과 제품에 대한 평판을 알 수 있다.
해외에는 이미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이 존재하며 한국에서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둘째, 기업 공식 블로그 또는 제품/서비스 블로그를 개설하여 블로거 및 소비자들과
소통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블로그 마케팅에 직접 참여하는 최선의 방법이며
가장 바람직한 자세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잘못된 접근 방식을 택하면 부정적인 인식을 얻을 수도 있으므로,
블로그 전문가와 함께 올바른 기획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셋째, 블로거 및 독자들과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것이다.
아무리 인터넷 시대라고 해도 온라인만으로는 부족하다.
실제로 많은 블로거가 오프라인에서 만나고 있다.
기업은 토론회, 이벤트로 블로거들을 모으고 그들과의 만남을 통해 현장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자료
- https://powerball-site-korea.mystrikingly.com/blog/k
- https://powerball-site-korea.mystrikingly.com/blog/c59b5a8b4e5
- https://powerball-site-korea.mystrikingly.com/blog/f3b91696f63
- https://powerball-site-korea.mystrikingly.com/blog/fec5a13e14c